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생명의 삶 묵상] 마가복음 12장 1절-12절, 탐심으로 저버린 은혜, 주인을 대적하는 악행

생명의 삶/41 생명의 삶 마가복음

by silentday 2024. 3. 14. 02:20

본문

반응형

오늘의 생명의 삶 묵상 본문은 마가복음 12장 1절-12절입니다. 본문에서는 예수님께서 악한 포도원 농부의 비유를 통하여 탐심으로 인하여 하나님과의 관계와 인간과의 관계가 파괴된다는 사실을 가르쳐 주셨습니다. 본문을 묵상하며 은혜를 저버린 자를 심판하시는 하나님의 공의를 발견하고 새벽설교로 요약하였습니다.

 

[생명의 삶 묵상] 마가복음 12장 1절-12절, 탐심으로 저버린 은혜, 주인을 대적하는 악행
[생명의 삶 묵상] 마가복음 12장 1절-12절, 탐심으로 저버린 은혜, 주인을 대적하는 악행

 

 

마가복음 12장 1절-12절, 탐심으로 저버린 은혜, 주인을 대적하는 악행

 

 

오늘의 말씀 요약

 

예수님이 비유로 말씀하십니다. 포도원을 세주고 타국에 간 주인이 소출을 받으려 종들을 보냅니다. 농부들은 종들을 때리거나 죽이고, 주인의 아들까지 죽입니다. 이에 주인은 농부들을 진멸하고 포도원을 다른 사람들에게 줄 것입니다. 유대 종교 지도자들은 이 비유가 자기들을 가리키는 줄 압니다.

 

 

본문 해설

 

1. 포도원 주인과 악한 소작인들 (12:1-5)

예수님은 ‘포도원 농부 비유'를 들어 종교 지도자들의 완악함을 깨우치십니다. 비유에서 ‘울타리, 포도즙 짜는 틀, 망대' 등은 포도원에 대한 주인의 기대를 잘 보여 줍니다(1절). 추수 때가 되자 주인이 소출 얼마를 받으려고 종을 보냈는데, 소작인들이 종을 폭행해 빈손으로 돌려보냅니다. 주인이 세 번에 걸쳐 종들을 보냈지만, 소작인들의 악행은 심화되어 종들을 살해하기까지 합니다. 포도원 주인은 ‘하나님', 포도원은 ‘이스라엘', 종들은 하나님 말씀을 전한 ‘선지자들', 소작인들은 ‘유대 종교 지도자들'을 상징합니다(사 5:1~7). 종교 지도자들은 교만과 탐욕에 빠져 하나님이 보내신 이들을 죽이고 돌로 치는 자들이었습니다(마 23:37).

‘포도원 농부 비유'에서 소작인들은 주인에게 어떤 태도를 보였나요? 탐욕은 하나님과의 관계, 사람과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2. 악한 소작인들의 최후 (12:6-12)

소작인들의 거듭된 악행을 인내하던 주인은 마지막으로 아들을 보냅니다. 자신의 아들만큼은 그들이 존중하리라 기대한 것입니다(6절). 그러나 소작인들은 주인의 아들까지 살해해 포도원 밖으로 던져 버립니다. 이러한 악행은 포도원 경작을 위탁한 주인에 대한 감사를 잊고 불법을 동원해서리도 포도원을 차지하려는 탐욕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주인이 마지막에 보낸 아들은 ‘예수님'을 상징합니다. 분노한 주인이 돌아와 소작인들을 진멸하고 포도원을 다른 소작인들에게 맡긴다는 것은 선민 이스라엘의 특권이 상실될 것을 암시합니다. 예수님은 시편을 인용해 종교 지도자(건축자들이 죽이는(버리는) 이(돌)가 인류를 구속하는 그리스도(머릿돌)가 될 것이라고 선언하십니다(시 118:22).

건축자가 ‘버린 돌'이 가장 중요한 ‘머릿돌'이 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나의 죄에 대해 주님이 경고하실 때, 나는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요?

 

[생명의 삶 묵상] 마가복음 12장 1절-12절, 탐심으로 저버린 은혜, 주인을 대적하는 악행
풍성하게 맺히는 포도를 본 악한 농부들은 포도원을 차지하려는 탐심에 사로잡히게 된다. 마가복음 12장 1절-12절

 

 

새벽 설교 : 포도원 농부 비유 - 탐욕과 회개

 

서론: 울타리에 갇힌 탐욕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오늘 우리는 마가복음 12장 1-12절에 기록된 "포도원 농부 비유"를 통해 탐욕의 위험성과 회개의 중요성에 대해 함께 생각해보겠습니다. 예수님은 이 비유를 통해 하나님과의 관계, 그리고 사람과의 관계에서 탐욕이 가져올 파멸적인 결과를 생생하게 보여주십니다. 포도원 주인은 울타리, 포도즙 짜는 틀, 망대까지 설치하여 최상의 수확을 기대하며 정성껏 포도원을 가꾸었습니다. 그러나 소작인들은 주인의 기대를 저버리고 탐욕에 눈이 멀어 주인의 종들을 폭행하고 심지어는 아들까지 살해하는 악행을 저지릅니다.

이 비유는 우리에게 탐욕이라는 죄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경고합니다. 탐욕은 우리를 이기적으로 만들고, 주변 사람들을 희생시키는 무자비한 존재로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탐욕은 하나님과의 관계를 단절시키고 영원한 멸망으로 이끄는 파멸적인 힘을 지닙니다.

 

본론: 탐욕이 파괴하는 관계

하나님과의 관계

포도원 농부 비유에서 소작인들은 주인의 사랑과 은혜를 무시하고 그의 소유를 탐하려 했습니다. 이는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탐욕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줍니다. 탐욕은 우리를 하나님의 뜻보다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자로 만들고, 결국 하나님과의 관계를 단절시키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사람과의 관계

소작인들은 주인의 종들을 폭행하고 아들을 살해하는 잔인한 행동을 저질렀습니다. 이는 탐욕이 인간관계를 파괴하는 악한 힘을 보여줍니다. 탐욕은 우리를 이기적이고 공격적인 존재로 만들고, 주변 사람들을 이용하고 희생시키는 비윤리적인 행동을 하도록 유혹합니다.

 

결론: 회개와 변화

예수님은 포도원 농부 비유를 통해 우리에게 탐욕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회개를 촉구하십니다. 우리는 탐욕이라는 죄를 깨닫고 진심으로 회개해야 합니다. 회개는 단순히 죄를 후회하는 것이 아니라 탐욕의 유혹을 물리치고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며, 주변 사람들을 사랑하고 존중하는 삶으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회개를 위한 실천

  • 기도: 탐욕의 유혹을 물리칠 수 있도록 주님께 기도하고 은혜를 구하십시오.
  • 말씀: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탐욕의 본질을 깨닫고 올바른 가치관을 세우십시오.
  • 실천: 탐욕을 이기고 주변 사람들을 사랑하고 섬기는 실천을 통해 회개의 증거를 보여주십시오.

 

마무리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오늘 말씀을 통해 탐욕의 위험성을 깨닫고 진심으로 회개하는 자가 되기를 기도합니다. 하나님의 은혜로 탐욕의 사슬을 끊고,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며, 주변 사람들을 사랑하고 섬기는 삶을 살아가도록 노력합시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